룩셈부르크 (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 대공국의 수도로,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였다. 963년 룩셈부르크의 지크프리트가 요새를 건설한 이래, 부르고뉴, 스페인,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거치며 유럽의 강력한 요새로 발전했다. 1867년 런던 조약으로 요새가 해체된 후, 1890년 네덜란드와의 동군 연합이 해소되면서 독립 국가의 수도가 되었다. 제1, 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중립국에서 국제기구의 중심지로 변화했으며, 현재 유럽 연합의 여러 기관이 위치해 있다. 룩셈부르크 시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구시가지와 요새를 비롯해 다양한 박물관과 문화를 자랑하며, 2023년 기준 약 13만 3천 명의 인구를 가진 다문화 도시이다. 대중교통은 무료로 운영되며, 룩셈부르크 공항을 통해 국제적인 연결성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 (도시)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3은 룩셈부르크에서 개최되었고, 이스라엘이 처음 참가했으며, 언어 규칙 폐지로 다양한 언어의 노래가 불렸고, 룩셈부르크가 우승을 차지했다. - 룩셈부르크 (도시)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은 룩셈부르크 시에서 18개국이 참가한 11번째 대회로, 오스트리아의 "Merci, Chérie"가 우승했으며 네덜란드 최초의 흑인 가수 참가, 도메니코 모두뇨의 작곡가 참여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 룩셈부르크의 도시 - 뒤들랑주
룩셈부르크 남서부에 위치한 뒤들랑주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21,513명에 이르렀으며, F91 뒤들랑주 축구 클럽과 도미니크 랑, 장 헹겐, 피에르 차오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한 도시이다. - 룩셈부르크의 도시 - 페탕주
페탕주는 룩셈부르크 남서부에 위치한 코뮌으로, 철광업과 철강 산업 발달로 중요성이 증가했으며, 켈트족 유적, 산업 및 철도 공원, 카니발 등 관광 명소가 있고, 축구팀 유니온 티투스 페탕주가 있다.
룩셈부르크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룩셈부르크어: Lëtzebuerg 프랑스어: Luxembourg 독일어: Luxemburg |
현지 이름 | 룩셈부르크어: Stad Lëtzebuerg 프랑스어: Ville de Luxembourg 독일어: Stadt Luxemburg |
기타 명칭 | 룩셈부르크어: d'Stad 독일어: Luxemburg-Stadt |
![]() | |
![]() | |
![]() | |
행정 | |
국가 | 룩셈부르크 |
칸톤 | 룩셈부르크 |
시장 | 리디 폴페르 |
시장 소속 정당 | DP |
지방 행정 단위 | LU0000304 |
지리 | |
면적 | 51.46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100개 코뮌 중 위 |
최대 고도 | m |
최대 고도 순위 | 100개 코뮌 중 위 |
최소 고도 | m |
최소 고도 순위 | 100개 코뮌 중 위 |
인구 | |
인구 순위 | 100개 코뮌 중 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밀도 순위 | 100개 코뮌 중 위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UTC) 차이 | +01:00 |
하계 시간 | CEST |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UTC) 차이 | +02:00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vdl.lu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유럽 연합 | |
유럽 연합 기관 위치 | 유럽 연합의 여러 기관이 위치 |
2. 역사
룩셈부르크 시는 로마 제국 시대에 두 개의 로마 가도가 교차하는 지점에 요새화된 탑이 세워져 있던 곳으로, 지리적 위치 덕분에 역사적으로 중요한 군사 전략 거점이었다.
1921년 Eich, Hamm, Hollerich, Rollingergrund 코뮌이 룩셈부르크 시에 편입되면서 시 경계가 크게 확장되었다. 1944년 12월과 1945년 1월에는 독일 V-3 대포의 장거리 포격을 받기도 했다.
EU 이사회는 매년 4월, 6월, 10월에 이 도시에서 회의를 개최한다.[6]
2. 1. 중세 시대
963년 트리어의 성 막시민 수도원과의 교환 조약을 통해 아르덴의 룩셈부르크의 지크프리트 1세가 룩셈부르크의 봉건 영지를 획득, ''Lucilinburhuc'' ("작은 성")이라 불리는 Bock ''Fiels'' 위에 성을 건설했다.[7] 10세기경 포크 성 주위에 요새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987년, 트리어 대주교의 에그베르트 대주교는 구원의 교회(오늘날의 성 미카엘 교회)에 다섯 개의 제단을 봉헌했다. 교회 근처 로마 가도 교차로에 시장이 나타났고, 그 주변으로 도시가 발전했다.12세기 말, 도시가 노트르담 대성당 주변으로 서쪽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벽이 건설되었다. 1340년경, 눈먼 요한 통치하에 1867년까지 유지되었던 새로운 요새가 건설되었다.
1443년, 선량공 필리프 아래의 부르고뉴 공국이 룩셈부르크를 정복했다. 룩셈부르크는 부르고뉴, 이후 스페인 제국 및 합스부르크 군주국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2. 2. 근세 시대
1443년, 선량공 필리프 아래의 부르고뉴 공국이 룩셈부르크를 정복했다. 룩셈부르크는 부르고뉴, 이후 스페인 제국 및 합스부르크 군주국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스페인령 네덜란드 및 스페인 길 참조). 합스부르크 행정부 하에서 룩셈부르크 성은 반복적으로 강화되어 16세기까지 룩셈부르크는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 부르고뉴, 스페인, 프랑스, 다시 스페인, 오스트리아, 다시 프랑스, 프로이센 왕국이 룩셈부르크를 정복했다.17세기에 최초의 카세메이트가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스페인이 1644년부터 23km의 터널을 건설했다.[7] 이들은 이후 보방에 의해 프랑스 통치하에 확장되었고, 1730년대와 1740년대에 오스트리아 통치하에 다시 증축되었다.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도시는 프랑스 제1 공화국에 의해 두 번 점령되었다. 한 번은 1792–93년에 잠시, 그리고 나중에는 7개월간의 포위 이후였다.[8] 룩셈부르크는 프랑스 포위 공격에서 너무 오랫동안 버텼기 때문에 프랑스 정치인이자 군사 기술자 라자르 카르노는 룩셈부르크를 "지브롤터를 제외하고 세계 최고의 요새"라고 불렀고, 이는 도시의 별명인 '북쪽의 지브롤터'를 낳았다.[8]
오스트리아 주둔군은 결국 항복했고, 그 결과 룩셈부르크는 프랑스 공화국에 병합되어 Forêts의 데파르트망의 일부가 되었고, 룩셈부르크 시가 그 프레펙처가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을 종식시킨 1815년 파리 조약에 따라 룩셈부르크 시는 독일 연방의 일부로 프로이센 왕국의 군사 통제하에 놓였지만, 주권은 오렌지-나소 가문으로 넘어가 네덜란드 연합 왕국과 동군 연합을 이루었다.
룩셈부르크 위기 이후 1867년 런던 조약은 룩셈부르크가 룩셈부르크 시의 요새를 해체하도록 요구했다. 요새 해체에는 16년이 걸렸고, 150만 금 프랑 프랑이 들었으며, 24km 이상의 지하 방어 시설과 4ha의 카세메이트, 포병대, 병영 등을 파괴해야 했다.[9] 또한 프로이센 주둔군이 철수해야 했다.[10]
2. 3. 근대
1890년, 네덜란드의 빌헬름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대공국은 네덜란드에서 나와 룩셈부르크의 아돌프 대공 아래의 독립적인 계열로 넘어갔다. 룩셈부르크는 진정한 독립 국가가 되었고, 룩셈부르크 시는 완전히 독립된 국가의 수도가 되었다.[9]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유지하려 했으나, 1914년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다.[11] 헬무트 폰 몰트케는 신속한 승리를 준비하기 위해 본부를 룩셈부르크 시로 옮겼다. 룩셈부르크는 4년 동안 독일 고위 사령부의 본거지가 되었다. 점령 말기에 룩셈부르크 시는 공산주의 혁명이 시도된 곳이었다. 1918년 11월 9일, 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했지만, 몇 시간 동안만 지속되었다.[11]
1921년, 시 경계가 크게 확장되었다. Eich, Hamm, Hollerich, 및 Rollingergrund 코뮌이 룩셈부르크 시에 편입되었다.
1940년, 독일이 다시 룩셈부르크를 점령했다.[12] 나치 독일은 룩셈부르크를 제3제국에 점진적으로 통합했다. 점령하에 수도의 모든 거리는 새로운 독일식 이름을 받았다.[12] 예를 들어, 기차역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인 아베뉴 드 라 리베르테는 "아돌프 히틀러 거리"로 개명되었다.[12] 룩셈부르크 시는 1944년 9월 10일에 해방되었다.[13]
2. 4. 현대
전쟁 후 룩셈부르크는 중립을 포기하고 여러 정부 간 및 초국가적 기관의 창립 회원이 되었다. 1952년 룩셈부르크 시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고등 기구의 본부가 되었다. 1967년 고등 기구는 다른 유럽 기관의 위원회와 합병되었다. 룩셈부르크 시는 유럽 의회 사무국의 본부이자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 유럽 감사원, 유럽 투자 은행의 본부로 남아 있다.[6] 유럽 위원회의 여러 부서도 룩셈부르크에 기반을 두고 있다.[6]3. 지리
=== 지형 ===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 남부 고원에 위치해 있는데, 이곳은 초기 쥐라기 시대의 거대한 사암 지층으로, 룩셈부르크 국토의 남쪽 2/3를 차지하는 낮고 평평한 지역인 구틀란트의 핵심을 이룬다.
도심은 알제트 강과 페트뤼스 강의 좁은 계곡으로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자리 잡은 그림 같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강은 룩셈부르크 시에서 합류한다. 두 강이 깎아 놓은 70m 깊이의 협곡에는 아돌프 다리, 대공 샤를로트 다리, 파세렐을 포함한 많은 다리와 고가교가 놓여 있다. 룩셈부르크 시는 특별히 크지는 않지만,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언덕을 가로지르며 두 협곡으로 뻗어 있어 도시의 배치가 복잡하다.
룩셈부르크 시의 면적은 51km2가 넘으며, 이는 대공국 전체 면적의 2%를 차지한다. 이로써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에서 네 번째로 큰 코뮌이며, 단연코 가장 큰 도시 지역이다. 룩셈부르크 시는 특별히 인구 밀도가 높지 않으며, km2당 약 1,700명이다. 룩셈부르크 시의 넓은 지역은 공원, 삼림 지역, 또는 중요한 유산지(특히 유네스코 유산)로 유지되고 있으며, 도시 경계 내에는 대규모 농지도 있다.
=== 기후 ===
룩셈부르크 시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로, 적당한 강수량과 춥거나 선선한 겨울, 그리고 따뜻한 여름이 특징이다.[45][46][47][48] 1년 중 약 3분의 2는 흐린 날씨를 보인다. 북위 49도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으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높은 편이다.
=== 도시 구획 ===
룩셈부르크 시는 24개의 구역(quartiers|카르티에프랑스어)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이는 코뮌 전체를 포괄한다. 구역은 일반적으로 룩셈부르크 시의 주요 지역 및 교외 지역에 해당하지만, 본느부아와 같은 몇몇 역사적인 지역은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3. 1. 지형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 남부 고원에 위치해 있는데, 이곳은 초기 쥐라기 시대의 거대한 사암 지층으로, 룩셈부르크 국토의 남쪽 2/3를 차지하는 낮고 평평한 지역인 구틀란트의 핵심을 이룬다.
도심은 알제트 강과 페트뤼스 강의 좁은 계곡으로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자리 잡은 그림 같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강은 룩셈부르크 시에서 합류한다. 두 강이 깎아 놓은 70m 깊이의 협곡에는 아돌프 다리, 대공 샤를로트 다리, 파세렐을 포함한 많은 다리와 고가교가 놓여 있다. 룩셈부르크 시는 특별히 크지는 않지만,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언덕을 가로지르며 두 협곡으로 뻗어 있어 도시의 배치가 복잡하다.
룩셈부르크 시의 면적은 51km2가 넘으며, 이는 대공국 전체 면적의 2%를 차지한다. 이로써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에서 네 번째로 큰 코뮌이며, 단연코 가장 큰 도시 지역이다. 룩셈부르크 시는 특별히 인구 밀도가 높지 않으며, km2당 약 1,700명이다. 룩셈부르크 시의 넓은 지역은 공원, 삼림 지역, 또는 중요한 유산지(특히 유네스코 유산)로 유지되고 있으며, 도시 경계 내에는 대규모 농지도 있다.
3. 2. 기후
룩셈부르크 시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로, 적당한 강수량과 춥거나 선선한 겨울, 그리고 따뜻한 여름이 특징이다.[45][46][47][48] 1년 중 약 3분의 2는 흐린 날씨를 보인다. 북위 49도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으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높은 편이다.
3. 3. 도시 구획
룩셈부르크 시는 24개의 구역(quartiers|카르티에프랑스어)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이는 코뮌 전체를 포괄한다. 구역은 일반적으로 룩셈부르크 시의 주요 지역 및 교외 지역에 해당하지만, 본느부아와 같은 몇몇 역사적인 지역은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4. 인구
2023년 룩셈부르크 시의 인구는 약 133,000명이다. 룩셈부르크 시는 70% 이상이 룩셈부르크 외 국적의 국민으로, 유럽에서 가장 다양한 도시 중 하나이다. 1970년대부터 포르투갈 이민자가 많이 유입되면서, 룩셈부르크 시는 파리, 함부르크와 함께 포르투갈 국외 최대의 포르투갈인 커뮤니티가 있다. 룩셈부르크 시에는 그 외에도 국경이 가까운 프랑스, 독일, 벨기에 출신도 많다. 룩셈부르크 시는 은행과 유럽 연합 건물이 많아 금융 중심지가 되었으며, 부유층의 수도 많다.[43]
출신 국가 | 인구 |
---|---|
룩셈부르크 | 35,302 |
프랑스 | 21,081 |
포르투갈 | 15,724 |
이탈리아 | 8,321 |
벨기에 | 5,217 |
독일 | 4,125 |
스페인 | 3,507 |
영국 | 2,348 |
루마니아 | 2,026 |
그리스 | 1,851 |
우크라이나 | 1,522 |
5. 정치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 정부의 소재지이다.[1] 또한 유럽 연합의 여러 기관 및 단체의 소재지이며,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 유럽 위원회, 유럽 의회 사무국, 유럽 감사원, 유럽 투자 은행 등이 이곳에 있다.[1] 이 기관들 대부분은 도시 북동부 키르히베르크 지구에 위치한다.[1]
5. 1. 지방 정부
룩셈부르크 헌법에 따라 지방 정부는 도시의 시의회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시의회는 1964년부터 27명으로 구성되며, 매 6년마다 10월 둘째 주 일요일에 선출되어 다음 해 1월 1일에 임기를 시작한다.[19] 룩셈부르크의 모든 시의회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이 도시는 현재 전국 두 번째로 큰 정당인 민주당(DP)의 거점으로 여겨진다.[20] 민주당은 시의회에서 10명의 시의원을 보유한 최대 정당이다.[21]도시 행정은 시장이 이끌며, 시장은 시의회 내 최대 정당의 대표이다. 2013년 12월 4일 자비에 베텔이 룩셈부르크의 새로운 총리가 되면서, 같은 해 12월 17일 리디 폴페르 (DP)가 룩셈부르크의 새로운 시장으로 선서했다. 최근 선거 이후 시장은 내각, 즉 ''콜레주 에케비날''을 이끌고 있으며, DP는 CSV와 연정을 구성한다. 룩셈부르크의 다른 도시들은 최대 4명의 ''에케뱅''으로 제한되지만, 룩셈부르크는 특별히 6명의 ''에케뱅''을 ''콜레주 에케비날''에 둘 수 있도록 허용된다.[22]
5. 2. 중앙 정부 및 유럽 기관
룩셈부르크 시는 룩셈부르크 정부의 소재지이다.[1] 또한 유럽 연합의 여러 기관, 기구 및 단체의 소재지이며, 여기에는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 유럽 위원회, 유럽 의회 사무국, 유럽 감사원, 유럽 투자 은행이 포함된다.[1] 이러한 기관의 대부분은 도시 북동부에 위치한 키르히베르크 지구에 있다.[1]6. 문화
룩셈부르크 시는 유럽 문화 수도로 두 번(1995년, 2007년) 지정된 최초의 도시였다. 2007년에는 루마니아의 시비우와 함께 유럽 문화 수도가 되었으며, 이는 룩셈부르크 대공국, 독일의 라인란트팔츠 및 자를란트, 벨기에의 왈롱 지역과 독일어 사용 지역, 프랑스의 로렌 지역으로 구성된 국경 간 지역에서 진행되었다.[24]
도시의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국립 역사 및 예술 박물관(MNHA), 룩셈부르크 시립 역사 박물관, 장 대공 현대 미술관(Mudam) 등 여러 주목할 만한 박물관이 있다.
6. 1. 유네스코 세계유산

룩셈부르크시는 요새의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룩셈부르크시: 구시가지와 요새'로 등재되어 있다.[26] 이 유적지는 주로 빌르 오트(Uewerstad)에 위치해 있다.
룩셈부르크 시의 역사 지구는 다음 기준에 따라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7. 스포츠
ING 유럽 마라톤이 2006년 6월부터 매년 룩셈부르크 시에서 개최되고 있다. 2014년에는 11,000명의 주자와 10만 명 이상의 관중이 모였다.
룩셈부르크 오픈은 1991년부터 룩셈부르크 시에서 개최되는 테니스 토너먼트이다. 이 토너먼트는 10월 13일부터 21일까지 열린다. BGL BNP 파리바는 2014년까지 토너먼트의 공식 타이틀 스폰서였다.
가스페리히에 위치한 룩셈부르크 경기장은 룩셈부르크의 국립 경기장이자 국내 최대 규모의 스포츠 경기장으로, 축구, 럭비 유니온 등 스포츠 행사 시 9,386명, 콘서트 시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28] 국내 최대 규모의 실내 경기장은 룩셈부르크 북동부에 위치한 키르히베르크의 d'Coque로, 8,3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기장은 농구, 핸드볼, 체조, 배구 경기에 사용되며, 2007년 여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도 이곳에서 열렸다. D'Coque에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도 있다.[29]
룩셈부르크 시의 두 축구 클럽인 Racing FC Union 룩셈부르크와 F.C. 룩셈부르크 시는 각각 국내 최고 리그인 BGL 리그와 2부 리그인 디비전 오브 아너에서 활동하고 있다. 룩셈부르크 경기장은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다.
8. 교통
룩셈부르크 시는 유럽 중심부에 위치하여 여러 고속도로 및 국제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대중교통은 2020년부터 무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철도, 버스, 트램 노선이 잘 갖춰져 있다.
룩셈부르크 시에는 룩셈부르크 철도 공사(CFL)가 운영하는 5개의 기차역이 있다. 룩셈부르크 중앙역은 대공국 모든 철도 노선의 주요 역이자 종착역이다. 이 역에서는 국내 철도 서비스뿐만 아니라 도이치반, 벨기에 국철, SNCF 등이 운영하는 국제 철도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프랑스 LGV 동부선과 연결되어 파리 및 스트라스부르까지 고속 서비스가 제공되며, 스위스 바젤과 취리히행 열차도 매일 2편 운행된다.[31]
시에서는 ''룩셈부르크 시 버스''(AVL)가 운영하는 40개의[32] 버스 노선망이 있으며, 일부는 민간 버스 회사에 하청을 주고 있다. 글라시와 룩셈부르크 역을 연결하는 무료 버스, 노인을 위한 "조커 라인", "시티 야간 네트워크"도 운영된다. 5개의 주차장을 갖춘 "파크 앤 라이드" 제도도 운영 중이다. AVL 버스 외에도 CFL과 RGTR은 룩셈부르크의 다른 지역과 독일 및 프랑스의 인근 도시로 운행하는 지역 버스를 운영한다.
1875년부터 1964년까지는 트램 네트워크가 있었으나, 2017년 12월에 다시 도입되었다. 현재 키르히베르크와 가스페리히 사이를 시내를 경유하여 운행하는 노선이 단계적으로 개통되고 있으며,[33][34] 2025년 3월까지 룩셈부르크 공항으로 연장될 예정이다.[35] 추가 노선 확장도 계획 중이다.[36]
룩셈부르크 시에는 룩셈부르크 공항(IATA 코드: LUX, ICAO 코드: ELLX)이 있다. 시 중심에서 6km 떨어진 상드바일러에 위치하며, 시립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24년 초에는 트램 연결망도 완공될 예정이다.[37] 이 공항은 룩셈부르크의 국책 항공사인 룩스에어와 세계 최대 화물 항공사 중 하나인 카고룩스의 허브이다.[38]
8. 1. 도로
룩셈부르크는 유럽 중심부, 프랑크푸르트, 파리, 암스테르담 사이의 골드 트라이앵글에 위치해 있어 여러 고속도로 및 국제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A1 (E44): 그레벤마허 및 트리어 (독일) 방향.
- A3 (E25): 뒤들랑주 및 티옹빌 (프랑스) 방향.
- A4: 에슈쉬르알제트 방향 및 A13을 통해 페탕주, 아토스 (벨기에) 및 롱위 (프랑스) 방향.
- A6 (E25 / E411): 아를론 및 브뤼셀 방향.
- A7 (E421): 메르쉬 및 에텔브뤼크 방향.
8. 2. 대중교통
룩셈부르크 시의 대중교통은 2020년부터 철도, 버스, 트램을 포함하여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30] 룩셈부르크 시는 국영 철도 회사인 룩셈부르크 철도 공사(Société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Luxembourgeois, CFL)가 운영하는 5개의 기차역이 있으며, 여기에는 대공국의 모든 철도 노선의 주요 역이자 종착역인 룩셈부르크 중앙역이 포함된다. 룩셈부르크 시의 역은 CFL이 운영하는 국내 철도 서비스뿐만 아니라, CFL, 도이치반(Deutsche Bahn, 독일), 벨기에 국철(National Railway Company of Belgium, 벨기에), SNCF(프랑스)가 운영하는 국제 철도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룩셈부르크 역은 프랑스의 LGV 동부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파리 및 스트라스부르까지 고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위스의 바젤과 취리히행 열차는 매일 2편의 국제 열차로 운행된다.[31]룩셈부르크 시는 시립 교통 당국인 ''룩셈부르크 시 버스''(AVL)가 운영하는 40개의[32] 버스 노선망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는 민간 버스 회사에 하청을 주고 있다. 또한 글라시와 룩셈부르크 역을 연결하는 무료 버스 서비스, 노인을 위한 "조커 라인", "시티 야간 네트워크"가 있다. 시에서는 버스 노선과 연결된 5개의 주차장을 갖춘 "파크 앤 라이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AVL 버스 외에도 CFL과 RGTR은 룩셈부르크의 다른 지역과 독일 및 프랑스의 인근 도시로 운행하는 지역 버스를 운영한다.
1875년부터 1964년까지 이 도시는 광범위한 트램 네트워크로 덮여 있었다. 2017년 12월, 트램이 수도에 다시 도입되었으며, 현재 키르히베르크와 가스페리히 사이를 시내를 경유하여 운행하는 새로운 노선이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33][34] 룩셈부르크 공항으로의 연장은 2025년 3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35]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미래 노선은 현재 계획 단계에 있다.[36]
8. 3. 항공
룩셈부르크시에는 룩셈부르크 유일의 국제공항인 룩셈부르크 공항(IATA 코드: LUX, ICAO 코드: ELLX)이 있다. 시 중심에서 6km 떨어진 상드바일러 코뮌에 위치한 이 공항은 2024년 초 완공 예정인 트램 연결망을 포함한 시립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37] 이 공항은 룩셈부르크의 국책 항공사인 룩스에어의 주요 허브이자 세계 최대 화물 항공사 중 하나인 카고룩스의 허브이다.[38]참조
[1]
웹사이트
Great Circle Distances between Cities
http://www.wcrl.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6-07-23
[2]
웹사이트
La ville en chiffres
https://www.vdl.lu/f[...]
2024-10-05
[3]
웹사이트
The capital of Luxembourg counts 110,499 inhabitants
http://www.luxembour[...]
2019-09-18
[4]
웹사이트
Luxembourg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01-01
[5]
웹사이트
Quality of living city ranking
https://mobilityexch[...]
2022-01-22
[6]
웹사이트
The European institutions in Luxembourg
https://luxembourg.p[...]
2021-08-05
[7]
웹사이트
The Fortress
http://www.lcto.lu/h[...]
Luxembourg City Tourism Office
2006-07-23
[8]
문서
Kreins (2003), p. 64
[9]
웹사이트
World Heritage List – Luxembourg
https://whc.unesco.o[...]
UNESCO
1993-10-01
[10]
Webarchive
Treaty of London, 1867
http://www.lib.byu.e[...]
2006-12-22
[11]
웹사이트
Luxembourg's history : Mutiny in the Grand Duchy
https://today.rtl.lu[...]
2024-06-16
[12]
간행물
Die Straßenbezeichnungen der Stadt Luxemburg unter deutscher Besatzung (1940–1944)
http://onsstad.vdl.l[...]
2002
[13]
문서
Thewes (2003), p. 121
[14]
웹사이트
Alcide De Gasperi Building
http://www.ena.lu/eu[...]
Centre Virtuel de la Connaissance sur l'Europe
2006-06-16
[15]
웹사이트
Annuaire climatologique 2021
https://www.meteolux[...]
Meteolux
2022-01-06
[16]
웹사이트
Données Climatologiques
http://www.meteolux.[...]
Meteolux
2016-10-25
[17]
웹사이트
Normales et extrêmes
https://www.meteolux[...]
Administration de l’Aéroport de Luxembourg
2022-01-06
[18]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Luxembourg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9
[19]
웹사이트
Organisation et fonctionnement des organes politiques
https://www.vdl.lu/f[...]
2017-10-31
[20]
뉴스
Cliff-hanger
http://www.land.lu/h[...]
1999-10-08
[21]
웹사이트
Members of the Municipal Council
https://www.vdl.lu/e[...]
Ville de Luxembourg
2022-01-21
[22]
웹사이트
Organisation des communes – Textes Organiques
http://www.legilux.p[...]
Service central de législation
2007-09-21
[23]
웹사이트
Kirchberg Plateau in Luxembourg City
https://www.luxembou[...]
2021-03-13
[24]
웹사이트
Luxembourg and Greater Region, European Capital of Culture 2007
http://www.mcesr.pub[...]
2011-10-30
[25]
웹사이트
"Guide Michelin 2012: Le Luxembourg perd des étoiles"
http://www.lequotidi[...]
[26]
웹사이트
Culture in Luxembourg
http://shanghai.mae.[...]
2011-10-30
[27]
문서
Art et Culture
[28]
웹사이트
Stade de Luxembourg (Stade National) – StadiumDB.com
http://stadiumdb.com[...]
2021-08-29
[29]
웹사이트
Infrastructure
https://www.coque.lu[...]
2019-02-22
[30]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
http://luxembourg.pu[...]
2022-05-23
[31]
웹사이트
A guide to French Railway's TGV high-speed trains
https://www.seat61.c[...]
2023-06-08
[32]
웹사이트
En bus
https://www.vdl.lu/f[...]
[33]
뉴스
Tram returns to city after 50 years
https://delano.lu/ar[...]
2017-07-12
[34]
뉴스
New section opening on Sunday: Tram passengers to expect 'several new exciting changes': Luxtram director
https://today.rtl.lu[...]
2024-07-07
[35]
웹사이트
Tram to run to Luxembourg airport from March, minister says
https://www.luxtimes[...]
2024-10-07
[36]
뉴스
Tram network to grow to four lines by 2035
https://delano.lu/ar[...]
2023-02-21
[37]
웹사이트
Tram network to reach Findel airport by 2024
https://today.rtl.lu[...]
2022-07-12
[38]
웹사이트
Luxembourg Airport {{!}} My Journey Starts Here
https://www.lux-airp[...]
2020-12-29
[39]
웹사이트
Futurium {{!}} Border Focal Point Network - QuattroPole: a cross-border network in the heart of Europe
https://futurium.ec.[...]
2023-06-08
[40]
웹사이트
Partnerská města HMP
https://web.archive.[...]
Prague
2019-08-20
[41]
웹사이트
世界一の富裕国・ルクセンブルクには、なぜ高級車も高層マンションもないのか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19-05-03
[42]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Luxembourg City
http://worldweather.[...]
2010-08
[43]
웹사이트
Luxembourg's Population
https://luxembourg.p[...]
2024-02-05
[44]
웹사이트
世界遺産詳解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24
[45]
웹인용
Annuaire climatologique 2021
https://www.meteolux[...]
룩셈부르크 기상청
2022-01-06
[46]
웹인용
Données Climatologiques
http://www.meteolux.[...]
룩셈부르크 기상청
2016-10-25
[47]
웹인용
Normales et extrêmes
https://www.meteolux[...]
룩셈부르크 공항관리청
2022-01-06
[48]
웹인용
Climatologie de l'année à Luxembourg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